1.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

('https://jaesim.com/'이하 '재심')은(는)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,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하지 않습니다.

  • 고객 가입의사 확인,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·인증, 회원자격 유지·관리, 물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따른 금액 결제, 물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·배송 등

2.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

① ('https://jaesim.com/'이하 '재심')은(는)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·이용기간 또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·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·보유합니다.
② 구체적인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고객 가입 및 관리: 서비스 이용계약 또는 회원가입 해지시까지, 다만 채권·채무관계 잔존시에는 해당 채권·채무관계 정산시까지
  • 전자상거래에서의 계약·청약철회, 대금결제, 재화 등 공급기록: 5년

3.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·의무 및 그 행사방법

이용자는 개인정보주체로써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.
① 정보주체는 ('https://jaesim.com/'이하 '재심')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.

  1. 개인정보 열람 요구
  2.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
  3. 삭제 요구
  4. 처리정지 요구

4.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작성

① ('https://jaesim.com/'이하 '재심')은(는)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.

  1. 필수항목: 이메일, 휴대전화번호
  2. 선택항목: 없음

5. 개인정보의 파기

('https://jaesim.com'이하 '재심')은(는)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. 파기의 절차,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파기절차: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목적 달성 후 별도의 DB에 옮겨져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혹은 즉시 파기됩니다. 이 때, DB로 옮겨진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.
  • 파기기한: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,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, 해당 서비스의 폐지,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.

6.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·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

서비스는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‘쿠키’를 사용하지 않습니다.

7.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작성

①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,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.

  • 개인정보 보호책임자:
    • 성명: 김도원
    • 연락처: bluesky840712@gmail.com ② 정보주체께서는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, 불만 처리,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할 수 있으며, 회사는 이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합니다.

8.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

①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,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해 알립니다.

9.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

('https://jaesim.com'이하 '재심')은(는)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·관리적 및 물리적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.

  1. 정기적인 자체 감사 실시: 개인정보 취급 관련 안정성 확보를 위해 분기 1회 자체 감사를 실시합니다.
  2. 개인정보의 암호화: 비밀번호는 암호화 되어 저장·관리되며, 중요한 데이터는 파일 및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별도 보안 기능을 사용합니다.
  3.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: DB 접근권한 부여, 변경, 말소를 통해 접근 통제를 하고 있으며, 침입 차단 시스템을 통해 외부 무단 접근을 통제합니다.